[원문]
始初不觉,久乃损人,故虽暑中,不可当风取凉。醉后操扇。昔有学道于彭祖,而苦患头痛,彭祖视其寝处有穴当其脑户,遂塞之,后卽无患。
출전: 明․吴正伦『养生类要』
[원문 풀이]
刚开始时不觉,时间长了,卽感损害人体。
Gāng kāishǐ shí bù jué, shíjiān cháng le, jí gǎn sǔnhài réntǐ.
所以,虽然天气炎热,也不可以在当风处乘凉,或飮酒醉后煽扇取凉。
Suǒyǐ, suīrán tiānqì yánrè, yě bù kěyǐ zài dāng fēng chǔ chéng liáng, huò yǐn jiǔ zuì hòu shān shàn qǔ liáng.
从前有一个人跟彭祖学习修身之法,却苦于头痛,彭祖听了其寝卧处,发现墙上有一洞正衝着其头部,于是将洞堵塞,此后再也不头痛。
Cóngqián yǒu yíge rén gēn Péngzǔ xuéxí xiūshēn zhī fǎ, què kǔyú tóutòng, Péngzǔ tīng le qí qǐnwòchǔ, fāxiàn qiángshàng yǒu yī dòng zhèng chōngzhe qí tóubù, yúshì jiāng dòng dǔsè, cǐhòu zài yě bù tóutòng.
[단어]
炎热 yánrè 무덥다, 찌든 듯하다
当风 dāngfēng 바람을 맞다
乘凉 chéngliáng 더위를 피하여 서늘한 바람을 쐬다
煽扇 shānshàn 부채로 부채질하다
取凉 qǔliáng (더위를 피하여) 서늘한 바람을 쏘이다
从前 cóngqián 종전, 이전
彭祖 Péngzǔ 팽조, 장수(长寿)의 상징인 전설상의 인물.
苦于 kǔyú (~로) 괴롭다, 고생스럽다
寝卧 qǐnwò 누워 잠자다
牆 qiáng 벽
洞 dòng 구멍
衝着 chōngzhe 돌진하다, 돌파하다, 충돌하다, 부딪히다
于是 yúshì 이에
此后 cǐhòu 이후, 그 후
再也不 zàiyěbù 더 이상 ~하지 않다
堵塞 dǔsè 막히다, 가로막다, 메우다, 보충하다
[역문]
갓 시작했을 때 느끼지 못하고, 시간이 오래되면 곧 인체가 손상되는 것이 느껴진다. 따라서 비록 날씨가 무덥더라도 바람을 맞는 곳에서 서늘한 바람을 쏘이거나, 혹은 술을 마시고 취한 뒤에 부채질을 하여 바람을 쏘여서는 안 된다. 예전에 한 사람이 팽조에게 수신의 방법을 배웠으나 오히려 두통으로 고생했다. 팽조는 그 침실을 보고는, 벽에 그의 머리 쪽을 곧바로 향해 있는 구멍이 있음을 발견했다. 그래서 구멍을 메꾸니, 그 뒤에는 더 이상 머리가 아프지 않았다.

'한의학중국어 강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과 형체 1 (0) | 2023.07.09 |
---|---|
오로칠상五勞七傷 5 (0) | 2023.07.08 |
오로칠상五勞七傷 3 (2) | 2023.07.06 |
오로칠상五勞七傷 2 (0) | 2023.07.05 |
오로칠상五勞七傷 1 (0) | 2023.07.04 |